meta data for this page
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| 이전 판 | ||
품질관리기술사_기출문제_제98회 [2012/08/15 20:20] moonrepeat |
품질관리기술사_기출문제_제98회 [2021/03/10 21:42] (현재) |
||
---|---|---|---|
줄 1: | 줄 1: | ||
====== 품질관리기술사 기출문제 제98회 ====== | ====== 품질관리기술사 기출문제 제98회 ====== | ||
===== 1교시 ===== | ===== 1교시 ===== | ||
+ | ==== 1번 문제 ==== | ||
+ | 방침관리와 목표관리에 대하여 비교 설명하시오 | ||
+ | ==== 2번 문제 ==== | ||
+ | 제품안전 품질에 대한 경각심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요구가 커짐에 따라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주요 이슈 5가지만 설명하시오 | ||
+ | ==== 3번 문제 ==== | ||
+ | 비표본 추출 오차의 원인을 5가지만 설명하시오 | ||
+ | ==== 4번 문제 ==== | ||
+ | 카노(Kano)의 품질의 이원적 인식방법인 당연적 품질과 매력적 품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| ||
+ | ==== 5번 문제 ==== | ||
+ | 고객 중심의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하여 유용하고 타당한 고객정보와 피드백을 통해 고객의 소리를 고객 핵심 요구사항으로 해석하여 지표와 척도로 개발하고 있다. 이에 관련하여 | ||
+ | [[VOC]] 조사 방법에 대하여 5가지만 나열하고 각각에 대하여 장점 및 단점을 설명하시오. | ||
+ | ==== 6번 문제 ==== | ||
+ | 다음 신뢰성 용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| ||
+ | |||
+ | 1) [[MTBF]] | ||
+ | |||
+ | 2) [[MTTR]] | ||
+ | |||
+ | 3) [[Availability]] | ||
+ | |||
+ | 4) [[Maintainability]] | ||
+ | ==== 7번 문제 ==== | ||
+ | [[COPQ]]([[Cost of Poor Quality]]) 개념을 설명하고, 이와 관련된 항목을 5가지만 제시하시오 | ||
+ | ==== 8번 문제 ==== | ||
+ | [[슈하트]]([[Shewhart]]) [[관리도]]에서 [[관리한계]]를 ±3[[시그마]]로 설정한 이유를 [[1종과오]] 및 [[2종과오]]와 연계하여 설명하시오 | ||
+ | ==== 9번 문제 ==== | ||
+ | 기업혁신의 한 축인 [[R&DB]]([[Research & Development Business]])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| ||
+ | ==== 10번 문제 ==== | ||
+ | 신제품개발이나 마케팅 전략에 사용되는 다변량 분석기법 중의 하나인 [[컨조인트분석]]([[Conjoint Analysis]])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러한 컨조인트분석을 이용하여 해결 할 수 있는 문제를 3가지만 제시하시오 | ||
+ | ==== 11번 문제 ==== | ||
+ | [[말콤볼드리지 국가품질상]]([[MBNQA]])의 핵심가치 11가지를 설명하시오 | ||
+ | ==== 12번 문제 ==== | ||
+ | [[품질변동]]에 대한 원인을 구분하고, 이에 대한 조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| ||
+ | ==== 13번 문제 ==== | ||
+ | 다음 교락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| ||
+ | |||
+ | 1) [[단독교락]] | ||
+ | |||
+ | 2) [[이중교락]] | ||
+ | |||
+ | 3) [[완전교락]] | ||
+ | |||
+ | 4) [[부분교락]] | ||
===== 2교시 ===== | ===== 2교시 ===== | ||
===== 3교시 ===== | ===== 3교시 ===== | ||
줄 48: | 줄 91: | ||
==== 6번 문제 ==== | ==== 6번 문제 ==== | ||
그림의 [[고장목]]([[FT]])에서 정상사상이 발생할 [[확률]]을 구하시오. (단, P(A)=0.03, P(B)=0.04, P(C)=0.05 이다.) | 그림의 [[고장목]]([[FT]])에서 정상사상이 발생할 [[확률]]을 구하시오. (단, P(A)=0.03, P(B)=0.04, P(C)=0.05 이다.) | ||
+ | |||
+ | {{::품질관리기술사:gichul_98-4-06.png?300|}} | ||
---- | ---- | ||
* [[품질관리기술사]] | * [[품질관리기술사]]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