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eta data for this page
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| 이전 판 | ||
품질관리기술사_기출문제_제63회 [2012/05/15 10:14] moonrepeat |
품질관리기술사_기출문제_제63회 [2021/03/10 21:42] (현재) |
||
---|---|---|---|
줄 2: | 줄 2: | ||
===== 1교시 ===== | ===== 1교시 ===== | ||
==== 1번 문제 & 답 ==== | ==== 1번 문제 & 답 ==== | ||
+ | ^ 영역 ^ 난이도 ^ 재확인 필요 ^ | ||
+ | | [[품질경영]] | ★☆☆ | ★★☆ | | ||
+ | |||
설계품질(quality of design)을 설명하시오. | 설계품질(quality of design)을 설명하시오. | ||
줄 7: | 줄 10: | ||
고객의 요구사항(VOC-외부고객, VOB-내부고객) 및 규정된 요구사항을 설계, 제조, 설비 등의 관리를 최적화한 상태에서 달성 가능한 수준으로 정한 품질목표로써 제품이 가지고 있는 사용가치와 가격을 고려하여 설정한 것을 말한다. | 고객의 요구사항(VOC-외부고객, VOB-내부고객) 및 규정된 요구사항을 설계, 제조, 설비 등의 관리를 최적화한 상태에서 달성 가능한 수준으로 정한 품질목표로써 제품이 가지고 있는 사용가치와 가격을 고려하여 설정한 것을 말한다. | ||
==== 2번 문제 & 답 ==== | ==== 2번 문제 & 답 ==== | ||
+ | ^ 영역 ^ 난이도 ^ 재확인 필요 ^ | ||
+ | | [[공업통계]] | ★☆☆ | ★★☆ | | ||
+ | |||
품질관리기법중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기법의 적용영역을 설명하시오 | 품질관리기법중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기법의 적용영역을 설명하시오 | ||
---- | ---- | ||
- | * [[상관분석]]의 적용 영역 | + | - [[상관분석]]의 적용 영역 |
* 공정 또는 설계변수들간의 상호 관련성에 관심을 갖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두 변수사이의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상관분석이고 이를 위해 산점도를 그릴 때 살펴 보아야 할 점, 상관계수의 성질, 무상관성 등의 절차를 다루게 된다. | * 공정 또는 설계변수들간의 상호 관련성에 관심을 갖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두 변수사이의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 상관분석이고 이를 위해 산점도를 그릴 때 살펴 보아야 할 점, 상관계수의 성질, 무상관성 등의 절차를 다루게 된다. | ||
* 상관계수 추정치 \hat{r} = \frac{SS_{(xy)}}{\sqrt{S_{(xx)}S_{(yy)}} | * 상관계수 추정치 \hat{r} = \frac{SS_{(xy)}}{\sqrt{S_{(xx)}S_{(yy)}} | ||
줄 16: | 줄 22: | ||
* r이 음수인 경우 음의 상관이라 부르며 | * r이 음수인 경우 음의 상관이라 부르며 | ||
* r이 양수인 경우 양의 상관이라 부른다. | * r이 양수인 경우 양의 상관이라 부른다. | ||
- | * [[상관계수]] 평가법 | + | * [[상관계수]] 평가법 |
- | * r이 0.4 이상이면 약한 상관성을 가지며 | + | * r이 0.4 이상이면 약한 상관성을 가지며 |
- | * r이 0.6 이상이면 상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고 | + | * r이 0.6 이상이면 상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고 |
- | * r이 0.8 이상이면 강한 상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. | + | * r이 0.8 이상이면 강한 상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.. |
+ | - [[회귀분석]]의 적용영역 | ||
+ | * 회귀분석은 반응변수와 설명변수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선형모형을 선정하고, 자료로부터 이 모형을 추정하여 예측, 또는 통계적 추론을 하는 통계적 분석방법을 말한다. 특히 설명변수가 하나인 경우를 단순회귀분석이라 하고 설명변수가 두 개이상의 경우는 중회귀분석이라 한다. | ||
+ | * [[단순회귀분석]]의 경우 아래와 같다. | ||
+ | * ˆy=^β0+^β1x | ||
+ | * ^β1=S2(xy)S(xx) | ||
+ | * ^β0=¯y−^β1¯x | ||
==== 3번 문제 ==== | ==== 3번 문제 ==== | ||
- | ==== 4번 문제 ==== | + | 제품특성치 X가 [[평균]] μ([[기지]]), [[분산]] σ2인 [[정규분포]]를 따를 때 σ2에 대한 [[불편추정 통계량]]([[unbiased estimator]])을 구하시오. 단, [[샘플]]은 [[랜덤샘플]] X1,X2,⋯Xn이다. |
- | ==== 5번 문제 ==== | + | ==== 4번 문제 & 답 ==== |
+ | ^ 영역 ^ 난이도 ^ 재확인 필요 ^ | ||
+ | | [[실험계획법]] | ★☆☆ | ★★☆ | | ||
+ | |||
+ | [[실험계획법의 기본원리]]를 열거하고 내용을 설명하시오. | ||
+ | |||
+ | ---- | ||
+ | - [[랜덤화의 원리]] | ||
+ | * 뽑혀진 [[인자]] 외에 통제하지 못한 기타의 원인들이 실험결과에 편기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으로, 실험순서를 무작위로 정하는 원리를 말함. | ||
+ | - [[블록의 원리]] | ||
+ | * 실험전체를 시,공간적으로 분리하여 [[블록]]으로 만들어 주면, 각 [[블록]] 내에서는 실험환경이 균일하게 되어 정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 | ||
+ | - [[반복의 원리]] | ||
+ | *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을 2회 이상 행하여 실험의 정도를 높이려는 원리로 [[반복]]을 시킴으로써 [[오차항]]의 [[자유도]]를 크게하여 [[오차분산]]이 정도높게 추정되고 [[오차항]]을 단독으로 분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. | ||
+ | - [[교락의 원리]] | ||
+ | * 분석의 의미가 없는 [[교호작용]]을 [[블록]]과 [[교락]]시키는 방법으로 불필요한 [[요인]]의 효과를 [[블록]]에 [[교락]]시킴으로써 실험의 효율과 정도를 높이고자 함에 있다. | ||
+ | - [[직교의 원리]] | ||
+ | * 배치된 요인간에 [[직교성]](다른 실험환경에서도 동일한 횟수의 실험을 실시)을 갖도록 실험계획하여 데이터를 취하면, 같은 실험 횟수라도 검출력이 높은 검정을 할 수 있고, 정도높은 추정이 가능하다. (라틴방격법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며, 다구치실험의 기본 틀이기도 함) | ||
+ | ==== 5번 문제 & 답 ==== | ||
+ | ^ 영역 ^ 난이도 ^ 재확인 필요 ^ | ||
+ | | [[TQM]] | ★☆☆ | ★★☆ | | ||
+ | |||
+ | [[TQM]]의 기본원리 중 5 가지만 기술하시오. | ||
+ | |||
+ | ---- | ||
+ | [[종합적품질경영]]([[Total quality management]])의 약자로써 [[QM]]과 [[TQC]]의 기반으로 기업전체의 문화와 구성원의 의식수준과 태도를 함양하여 사회참여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경영전략시스템의 일부분으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원리는 다음과 같다. | ||
+ | |||
+ | - 최고경영자의 방침에 따라 고객만족을 위한 시스템 구축 | ||
+ | - 종업원에 대한 성과 보상체계 마련 | ||
+ | - 품질지향적인 기업문화 형성 | ||
+ | - 영업, 제조, 기술, 서비스에 이르는 전부문의 참여 | ||
+ | - 리더십의 발휘 | ||
+ | - 이상적인 품질목표 제시 | ||
==== 6번 문제 ==== | ==== 6번 문제 ==== | ||
+ | |||
+ | |||
+ | [[난괴법]] 적용시 [[결측치]] 처리방법을 설명하시오. | ||
+ | |||
+ | ---- | ||
+ | 이원배치법 이상의 경우 결측치가 발생했을 경우 Yatse 의 공식을 이용하여 푼다. | ||
+ | |||
+ | * [[결측치]]가 1개인 경우 | ||
+ | * AiBj 에서의 [[결측치]] x [[추정]] | ||
+ | |||
+ | | | A1 | A2 | ⋯ | Ai | 합계 | | ||
+ | | B1 | y11 | y21 | ⋯ | yl1 | T_{.1} \acute | | ||
+ | | B2 | y12 | y22 | ⋯ | yl2 | T.2 | | ||
+ | | ⋮ | ⋮ | ⋮ | | (x) | ⋮ | | ||
+ | | Bm | y1m | y2m | ⋯ | ylm | T.m | | ||
+ | | 합계 | T_{1.} \acute | T2. | ⋯ | Tl. | T | | ||
+ | |||
+ | * x=lTi. ˊ | ||
+ | * 이 때 [[오차항]]의 [[자유도]]가 1만큼 감소되어 \nu_{E} = (l-1)(m-1)-1이 된다. | ||
==== 7번 문제 ==== | ==== 7번 문제 ==== | ||
+ | [[다구치]] 품질공학에서 [[망목특성]]의 [[손실함수]]를 설명하시오. | ||
==== 8번 문제 ==== | ==== 8번 문제 ==== | ||
+ | 시간 종속성 품질특성(dependability)의 종류와 내용을 설명하시오. | ||
==== 9번 문제 ==== | ==== 9번 문제 ==== | ||
+ |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[[가속수명 시험]]법에서 스트레스를 부하(load)하는 방법의 종류를 설명하시오. | ||
==== 10번 문제 ==== | ==== 10번 문제 ==== | ||
==== 11번 문제 ==== | ==== 11번 문제 ====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