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eta data for this page
  •  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r_관리도 [2012/07/04 21:57]
moonrepeat
r_관리도 [2021/03/10 21:42]
줄 1: 줄 1:
-====== R 관리도 (R Control Chart) ====== 
-===== 정의 ===== 
-===== 중심선 및 관리한계선 ===== 
-  * $$ \mathrm{UCL} = \mu_{_{R}} + 3 \sigma_{_{R}} = (d_{2} + 3 d_{3}) \sigma = D_{2} \sigma $$ 
-  * $$ \mathrm{CL} = \mu_{_{R}} = d_{2} \sigma $$ 
-  * $$ \mathrm{LCL} = \mu_{_{R}} - 3 \sigma_{_{R}} = (d_{2} - 3 d_{3}) \sigma = D_{1} \sigma $$ 
  
- 단, [[관리도 계수]] $D_{1} = d_{2} - 3 \cdot d_{3}$, $D_{2} = d_{2} + 3 \cdot d_{3}$이다. ([[관리도 계수표]] 참조) 
- 
----- 
- ​만약 [[공정]]의 [[표준편차]] $\sigma$를 모르는 경우에는 예비 [[표본]]으로 부터 구한 [[추정치]] $\overline{R} / d_{2}$를 이용한여 아래와 같이 [[중심선]] 및 [[관리한계선]]을 구한다. 
- 
-  * $$ \mathrm{UCL} = \overline{R} + 3 \cdot d_{3} \frac{\overline{R}}{d_{2}} = D_{4} \overline{R} $$ 
-  * $$ \mathrm{CL} = \overline{R} $$ 
-  * $$ \mathrm{LCL} = \overline{R} - 3 \cdot d_{3} \frac{\overline{R}}{d_{2}} = D_{3} \overline{R} $$ 
- 
- 단, [[관리도 계수]] $D_{3} = 1 - 3 \cdot d_{3} / d_{2}$, $D_{4} = 1 - 3 \cdot d_{3} / d_{2}$이다. ([[관리도 계수표]] 참조) 
- 
----- 
-  * [[관리도]] 
-  * [[관리도 계수]] 
-  * [[관리도 계수표]]